
설치하고 나면 terminal login이 나온다. ㅠㅠ 내 xwindow!!! 로그인을 한 뒤 $ sudo apt-get install gnome [y]를 누른후 설치 시작하고 다 설치 된 후 $ sudo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 reboot 로그인을 한 후 tensorflow를 설치해보자요^^ python version 을 확인하고 update가 필요하면 uptate를 수행한다. 기본 설치하고 살펴보면 python과 python3가 같이 깔려 있다. 각각 버전을 확인하자구요^^ 나는 python3를 사용할 거에요. $ python -V $ python3 -V python3에서 사용할 텐서 플로우 설치하기 먼저 기본 어플의 버전을 확인합니다. $ pyth..
세팅 저장용 글 작성 1. Mac OS Recovery Mode 진입 ( 파워 On과 동시에 CMD+R 누르고 기다린 후 붕~하는 소리 들리면 손 때고 기다리기) 후 2. Utilities --> Terminal 띄운 후 Turn off SIP #csrutil disable 3. Restart ( 정상모드로 Mac OS 띄우기) 4. Terminal 띄운 후 다음과 같이 처리 $ tccutil reset All com.vmware.fusion $ sudo sqlite3 "/Library/Application\ Support/com.apple.TCC/TCC.db" 'insert into access values ("kTCCServiceScreenCapture","com.vmware.fusion",0,1,1..

컴파일을 한번 해볼까? 커널 컴파일은 루트 개정으로 들어가야 한다. 루트 계정인지 어떻게 아냐고요? Shell을 띄웠을 때 커서 왼쪽에 #이라고 뜨면 나는 루트다. 그런데 어떻게 루트로 바꾸지? 흠.. sudo로 root 패스워드를 바꾸고.. su - 로 루트쉘을 열자 처음이라 루트는 무섭지?만 조심하면 된다^^ 커널 소스 압축을 풀고 들어간다음 ( 또는 git으로 다운로드 받은 폴더 안에 들어가서 ) 진행하면 된다 ls -l 했을 때 arch, block, certs .. 등등의 디렉토리가 보인다면 정상!! 커널 컴파일 순서는 간단하다. #make menuconfig; make; make modules; make modules_install; make install 이렇게 하면 될거 같지만 생각보다 c..

2. Linux Shell에서 git으로 받아보기 !! Kernel.org 사이트에서 HTTP, GIT, RSYNC를 지원한다고 되어있다. 1 번에서 직접 다운로드 받는 것이 HTTP 이용한 버전이고 두번째가 git으로 받는 것이다. git은 현재 개발중인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고 해당 폴더에서 update등도 가능하다. 우선은 다운로드만 진행해보자. GIT으로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이 아주 복잡한 사이트가 보인다. 어쩌지? 내가 관심있어하는 분야의 최신 커널소스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 공부하기 딱 좋다. 라고 쓰고 눈을 감는다. 아직은 아냐. Kernel Maintainer가 중요한 코드는 골라서 Mainline에 Merge해줄거야.. 사람들이 관심있는 분야가 이런쪽이구나.까지만 살펴본다. 커널을 다운로..

1. kernel.org에서 다운 받기 https://www.kernel.org/ 사이트에 들어가면 무엇을 골라야 할지 헤깔릴때가 있다. 우리는 지금 Mac에서 virtualbox/vmware로 리눅스를 쓰고 있다^^ 고로 x86_64 (intel , AMD 64bit )인데 배포판처럼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뭐지?? 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linux kernel 소스내에서 architecture 별로 구현되어있다고만 알고 시작하자. 우선 Mainline은 현재 안정화 시키고 있는 최신 커널이다. Stable은 안정화된 버전이고^^, EOL(End of Line)은 안정화된 버전이지만 더이상 Update는 되지 않는다. 다운로드를 원하면 Mainline이나 stable을 받아보자^^ 공부할거니까....

리눅스를 설치했는데 부팅했는데 까만화면에 글짜만 떠있다. 당황 스럽다면 마우스를 쓰는 환경으로 바꾸어 보자. yum은 응용프로그램 설치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여러개의 패키지를 동시에 설치해야 할경우 groupinstall로 처리할 수 있다. fedora server는 gnome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설치해야 한다. gnome은 그래픽 환경을 도와주는 xwindow manager 이다. linux에서 xwindow manager는 크게 gnome, kde 정도로 나뉘는데 gnome사용이 일반적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kde를 더 좋아하지만..^^ #yum groupinstall gnome 설치를 해야 하는 패키지 수와 용량을 알려줍니다. 총 652개의 패키지와 396M의 용량이 필요한데 괜찮냐고 묻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