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널 공부할거니까^^ fedora server 버전 설치해볼까요? 자 시작!! (참고로 server 버전은 까만창만 뜬다--> 여기서부터 시작할 건데,, 마우스를 쓸수 있는 GUI 환경을 처음부터 원한다면 fedora Workstation 버전을 설치하기를 권장합니다.) Mac 이니까 x86_64 버전 dvd용으로 다운로드 받겠습니다. 응용프로그램에서 virtualbox를 실행 시키고^^ 자 이제 설치해봐요^^ 전문가 모드로 바꿔서^^ install 을 선택하세요^^ 설치가 다 끝나면 다음과 재부팅을 시작합니다.^^ 재부팅 할 때 CD를 제거해줍니다. 자 이제 다시 시작하면.. 리눅스 설치 완료.. 로그인 되는 거 확인하고 지금은 여기까지.. 나중에 너무 느려서 못쓸거 같애.. 라고 느낀다면 최소 프로세..

Virtualbox 부터 설치하기 // 나는 개인적으로 vmware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vmware는 유료니까^^ GPL version 2 License 인 virtualbox !! 모두를 위해!! (상업적인 사용은 안되는 거 아시죠? ) virtualbox OS X hosts 버전 다운받아 설치하기 다운로드 받아서 더블 클릭!!! 계속!! ( Mac OS X App Store에서 설치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은 항상 확인 작업을 거친다 계속 하려면 계속!!! ) 설치하다기 실패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oracle을 허용해주고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

QuickTime Player 실행 -> 파일-> 새로운 화면 기록 -> 빨간동그라미 옆 누르고 마이크와 마우스 선택^^ 빨간 동그라미 누르고 녹화 위치 선택 --> 기록 시작 끝내는 방법은 command-control-esc 또는 까만 네모 누르기^^ 편집은 Quicktime player 또는 iMovie!! 관련 Apple Link는 https://support.apple.com/ko-kr/HT208721
커널이 부팅되고 나면 내가 뭘 보지?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는데.. kernel module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리눅스에서 드라이버는 커널에 넣어서 동작시킬수도 있고 모듈타입으로 만들어서 커널에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다. start_kernel 함수 마지막에 module 관련 부분이 있는거^^ 확인 그럼 그냥 내 module 하나 만들어서 올렸다 내렸다 해볼까? OK !! 자세한건 다음에..
start_kernel까지 왔다면 이미 당신은 성공이다..^^ 왜냐면 이미 화면에 뭔가가 보였였으니까^^ 이전까지에서 생기는 문제들은 찾아내기 어렵지만 이뒤로부터는 논리적인 사고력만 있으면 된다. 나는 오래된 사람이라 ctags 와 vi만으로 커널을 튀어다니는 작업을 한다. 자 그럼 뭔일을 하는지 알아볼까? 하는데.. 운영체제 시간에 배웠던 이론들이 그냥 배운게 아니었어... 와 대박.. 다나와.. 하나씩 살펴볼건데 x86_64 코드쪽을 볼거라고 했는데.. arm 볼 사람도 같이 보라고 했던 이유는.. setup_arch에서 갈라진다는 얘기를 하고 싶어서다.. setup_arch에서 cpu 아키텍쳐별로 나눠진다.. 시스템 부팅 과정과 시스템 콜, setup_arch를 빼면 linux kernel의 큰 줄..
커널 부팅 과정을 살펴본다는 것은.. 음 이미 BIOS가 기본적인 하드웨어 특성들을 다 맞추고 나서 리눅스 커널을 불렀다는 얘기다.. (BIOS랑 BootLoader는 나중에 다시 보는 걸로 하고^^) 우리가 쓰는 노트북들은, PC는 대부분 intel/AMD x86_64 cpu를 사용하는 관계로 이쪽 커널을 살펴볼려고 한다.. 흠.. arm쪽을 보고 싶었는데 왜 x86_64냐고? 그런데 큰 줄기는 비슷하다.. (ARM 쪽은 나중에 보는 걸로^^ 급한 사람은 그쪽 먼저 보고 오시면 되어요^^) linux kernel은 한번에 짜잔 하고 첨부터 실행이 되지 않는다 BIOS가 부트로더를 부르고 부트로더가 메모리의 특정영역에 커널 관련 데이터를 복사한 다음에 커널관련데이터의 시작부분값을 IP에 던져주면 이제 시..